엔젤스윙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신가요? 아래 폼을 입력해주시면 담당자가 빠르게 연락드리겠습니다.
엔젤스윙
블로그
[뉴스레터] 2021년 4월 엔젤스윙 뉴스레터
2021.05.24
스마트 건설 리더를 위한 최고의 파트너 엔젤스윙 뉴스레터 2020.4월호
3월에 방문했던 현장에서 현장 담당자분과 함께
올해가 시작된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벌써 1분기가 지나고 2분기의 시작인 4월이 되었습니다. 엔젤스윙도 차근차근 준비해 왔던 것들을 여러분들께 선보이기 위해 올해 초 부터 많은 준비를 해 왔는데요. 하나 둘씩 좋은 소식들을 공개하기 위해 준비하는 마음이 매우 설렙니다.
전부 다 한번에 공개할 수는 없지만 4월부터 좋은 소식을 연이어서 전달해드릴 예정인데요. 새로운 기술 개발에서부터, 새로운 고객사와의 만남, 다양한 기능 업데이트 등이 줄줄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항상 진심을 담아 엔젤스윙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께 좋은 소식만을 전해드리는 엔젤스윙이 되겠습니다.
– 엔젤스윙 팀 드림
#1. 이 달의 엔젤스윙 HOT NEWS!
엔젤스윙, 지상기준점(GCP) 자동 탐지 & 정확도 보정 기술 개발
엔젤스윙 R&D 팀은 지난 3월 드론 측량 데이터에서 지상기준점(GCP)을 자동 탐지하고 정확도를 보정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오랜 기간동안의 연구 끝에, 드론 데이터 속에서 지상기준점을 자동으로 찾아내고 분석, 보정하는 과정까지 완전 자동화를 이뤄냈습니다.
지상기준점(GCP)이란 무엇인가요?
지상기준점은 지면의 특정 좌표를 나타내는 다양한 형태의 인공, 자연점을 말합니다. 왼쪽 사진에서 볼 수 있는 체크모양의 판이 일반적으로 지상기준점을 나타내는 데 자주 쓰이는 표지판인데요. 넓은 면적을 촬영하는 드론 측량에서 데이터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신경써서 설치해야 합니다.
GCP 자동 탐지 기술이 왜 필요한가요?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정확도를 보정하는 과정은 엔지니어가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체크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 경우 수동 작업에서 오는 불가피한 오류 뿐만 아니라 처리 시간이 오래 걸려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확인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자동화는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지상기준점 자동 탐지 & 정확도 보정 기술에 대한 엔젤스윙 팀의 첫 기술백서를 지금 읽어보세요 🤚
이제 엔젤스윙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형식의 3차원 모델인 ‘3D 메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측면 표현이 부족했던 기존의 3D 정사영상과는 달리, ‘3D 메쉬’는 건물의 외벽과 같은 옆면 데이터를 훨씬 실재감있게 구현합니다. 새롭게 출시된 3D 메쉬 데이터를 통해 현장을 더욱 생생하게 관찰하고 각종 보고와 회의에 활용해 보세요!
이번 3D 메쉬 데이터 생성 기능은 오픈베타로 출시되었습니다. 다양한 피드백을 통해 향후에 보다 안정적인 정식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3D 환경에서 ‘체적’ 측정 기능 제공
이제 3D 환경에서도 체적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현장을 2차원이 아닌 3차원으로 보면서 영역을 지정하기 때문에 영역 선택은 더 정교해지고, 측정값은 보다 정확해집니다. 새롭게 업데이트 된 3D 체적 기능을 활용해 더 편하고 정확하게 물량을 산출해 보세요!